d

141024 3PM 프레스콜

 

원작 아리엘 도르프만

번역/연출 박지혜


헤라르도 에스꼬바르 역  손상규      
로베르토 미란다 역  양종욱      
빠울리나 쌀라스 역  양조아  
 

 

 

양손프로젝트, <죽음과 소녀>.

2012년에도 비슷한 시기, 같은 공간에서 했던 공연이다.

배우들의 연기도, 작품도 좋았지만, 내게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마지막 암전이었다.

빠울리나의 손에 쥐어진 권총에서 과연 총성이 울릴 것인가.

암전 속에서 긴장감은 극도로 고조되었다.

 

 

2014년의 <죽음과 소녀> 프레스콜을 신청하면서 나는 그때의 감동을 떠올렸다.

양손프로젝트는 믿고 보는 팀이고, 다시 본다고 하여 그 맛이 사라질 거라 생각지 않았다.

그러나 이미 완벽하다 할 만큼 아름다운 한 번의 공연을 경험한 사람을

다시 그만큼 만족시킬 수 있을까 라는 걱정도 들었다.

 

 

 

 

날카롭고 폭력적인 느낌을 주는 긴 테이블이 무대를 채운다. 이 테이블과, 테이블 양 끝 의자 두 개, 스탠드 마이크, 그리고 빠울리나의 권총이 이 공연 오브제의 전부다. 배우들은 몇 개 되지 않는 무대소품들을 적극 활용하여 그림을 만들고, 공간을 만들고, 소리를 만든다. 이 공연에 있어서 청각은 굉장히 주요하게 쓰인다.

 

 

 

비록 배우들의 역할이 한 캐릭터로 정해져 있기는 하나, 양종욱 배우의 경우, 그를 로베르토 미란다라고 말하기엔 무리가 있을 정도로 복합적인 캐릭터를 연기한다. 다른 배역들은 그를 한 장면을 제외하고 결코 제대로 마주보지 않으며, 그의 대사는 공간이 아닌 심리적인 거리를 그리면서 다른이들을 파고든다.

 

 

2014년의 <죽음과 소녀>에서 가장 인상적인 대사는 이것이다. "잊자. 이제 그만 잊어버리자."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는 인생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를 잡은 빠울리나도, 그와 함께 행복해지길 바라는 헤라르도도, 이제 그만 고통에서 벗어나 미래로 나아가길 원한다. 슈베르트로 상징되는 미래를, 그들은 되찾을 수 있을까. 이번 마지막 암전에서도 나는 총성을 두려워했다. 

 

 

빠울리나가 쥔 총구가 향한 쪽은 로베르토인가? 아니, 자기 자신인가? 나는 빠울리나가 어떻게 하길 원하고 있는 걸까. 2012년의 그에게 나는 절대 쏘지 말라고 애원했다. 하지만, 만약 상대가 정말 사라져야할 어떤 것이라면? 혼란스러움 속에서 답을 내리지 못하고, 다시 조명이 밝혀졌다. 어떤 말도 할 수 없었다.